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위기 청소년 특별지원 월 최대 65만원 혜택 받는 방법

by sensiblemom 2025. 4. 21.

혹시 여러분 주변에 힘든 상황에 있는 청소년이 있다면 꼭 끝까지 읽어주세요.

 

이 글은 그런 친구들이 도움받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따뜻한 안내서랍니다!

 

 

위기 청소년 특별지원

🌱 ‘위기청소년 특별지원’이 뭐예요?

 

 


‘위기청소년 특별지원’은요,

 

힘든 상황에 처한 청소년들이 다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예요.


청소년 중에서 가정 형편이 어려운 친구들, 학교에 다니지 않는 친구들, 집 밖으로 잘 나가지 못하는 친구들,

 

부모님의 보호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친구들에게 꼭 필요한 도움을 주는 거예요.

 

위기 청소년 특별지원

📌 누가 받을 수 있나요?


✅ 나이는 9세부터 24세까지,


✅ 가정 소득이 중간보다 낮은 경우 

 

✅ 소득기준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그리고 아래 중 하나에 해당되면 신청할 수 있어요!

 

1) 학교에 다니지 않는 청소년

 

2) 비행이나 일탈 행동을 할 위험이 있는 청소년

 

3) 부모님이 없거나, 보호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청소년

 

4) 오랫동안 집 안에만 있으면서 사람들과 단절된 청소년

 

위기 청소년 특별지원 기준 중위소득기준

💡 ‘기준 중위소득’이란 뭐예요?

 

‘기준 중위소득’이란 쉽게 말해서,

 

우리나라 모든 가정의 소득(벌어들이는 돈)을 줄 세웠을 때 딱 중간에 있는 집의 소득을 말해요.

 

예를 들어볼게요.


우리나라에 100 가구가 있다고 가정해 볼게요.


이 100 가구를 가장 돈을 적게 버는 집부터, 가장 많이 버는 집까지 쭉 줄을 세워요.


그럼 몇 번째 집이 딱 중간일까요?

 

👉 맞아요! 50번째 집이 딱 중간이에요!


이 집이 바로 ‘중위소득 100%’인 집이에요.

 

그러니까, 이 기준은 “평균”보다는 조금 더 현실적인 “딱 중간 수준”의 소득을 의미하는 거예요.


즉, 이 기준보다 적게 벌면 형편이 넉넉하지 않다고 판단해서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거죠.

 

 

📊 숫자로 보면 더 쉬워요!


2024년 기준으로 4인 가족을 예로 들어볼게요.


(※ 해마다 중위소득 기준 금액은 조금씩 바뀌어요.)

 

4인 가족 기준 중위소득 100%는 약 5,400,000원 정도예요.


(정확히는 5,400,964원, 하지만 이해하기 쉽게 540만 원으로 볼게요.)

 

즉, 4인 가족이 한 달에 540만 원보다 적게 벌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에 해당하는 거예요.


이 경우 청소년 특별지원 같은 정부의 복지 혜택을 신청할 수 있는 자격이 생기는 거예요.

 

그런 식으로, 정부가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을 도와주기 위한 기준선이 되는 거죠.

 

🏡 가족 수에 따라 달라져요!


가족이 몇 명이냐에 따라 기준도 달라져요.


왜냐면 가족이 많으면 생활비도 더 많이 들잖아요?

 

예를 들어 2024년 기준으로 보면

 

가족 수 기준 중위소득 100% (한 달 소득)


1인 가구 약 2,200,000원


2인 가구 약 3,600,000원


3인 가구 약 4,600,000원


4인 가구 약 5,400,000원


이 기준보다 적게 벌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가 되는 거예요.

 

🙋‍♂️ 왜 이게 중요한가요?


이 기준은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준선이에요.


청소년 특별지원뿐 아니라, 기초생활수급자, 건강보험 혜택, 장학금 등 다양한 복지 혜택에서 사용돼요.

 

그러니까 이 숫자는 단순한 통계가 아니라,


“도움이 정말 필요한 사람을 찾아내기 위한 공정한 기준”이라고 보면 돼요!

 

위기 청소년 특별지원 내용

💡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요?


위기청소년 특별지원은 무려 8가지 분야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하지만 한 번에 여러 개를 받을 수 있는 건 아니고,

 

가장 필요한 1가지 분야를 선택해서 집중적으로 지원받는 거예요.

 

 

💰 1. 생활지원 (한 달에 최대 65만 원!)


옷, 음식, 난방비 같은 기초 생계비

 

잘 곳이 없는 경우엔 숙식 제공

 

예시: 민수는 부모님 없이 혼자 살고 있어서 끼니를 거르는 일이 많아요.

 

이런 민수는 생활지원을 신청할 수 있어요.

 

🩺 2. 건강지원 (1년에 최대 200만 원!)


병원 진찰, 검사, 수술, 약값, 입원이나 간호비용도 포함돼요

 

예시: 혜린이는 자주 아프지만 병원비가 부담돼서 병원에 가지 못했어요.

 

이 제도를 통해 병원 치료를 받을 수 있어요.

 

🎓 3. 학업지원 (한 달에 최대 30만 원!)


학교 입학금이나 수업료, 교과서비, 검정고시 준비 학원비 등

 

예시: 지훈이는 학교를 그만뒀지만 검정고시를 준비 중이에요. 학원비를 지원받을 수 있어요.

 

🛠 4. 자립지원 (한 달에 최대 36만 원!)


기술 배우기, 직업 체험, 진로 상담도 포함돼요

 

예시: 예나는 미용사가 되고 싶어요. 이 지원으로 미용학원비를 낼 수 있어요.

 

💬 5. 상담지원 (한 달에 최대 30만 원, 심리검사는 연 40만 원)


청소년 본인이나 가족이 받을 수 있는 심리 상담 프로그램 참가비도 지원돼요

예시: 수진이는 자주 우울한 감정을 느껴요. 심리상담을 받을 수 있어요.

 

6. 법률지원 (1년에 최대 350만 원!)


소송 비용, 변호사와의 상담비용

 

예시: 명우는 법적인 문제로 고민이 많아요. 이 제도를 통해 변호사와 상담할 수 있어요.

 

🎨 7. 활동지원 (한 달에 최대 30만 원!)


캠프, 문화 체험 활동, 친구들과의 교류 활동

 

예시: 다현이는 여행이나 체험 활동을 거의 해본 적이 없어요.

 

이 지원을 통해 문화 체험에 참여할 수 있어요.

 

✏ 8. 기타 지원


문신 제거, 흉터 치료 등 외모에 대한 고민 해결 교복, 체육복, 학용품 지원

 

예시: 준호는 문신 때문에 면접에 불이익을 받았어요. 이 지원으로 문신 제거를 할 수 있어요.  

 

 

위기 청소년 특별지원 신청방법

📝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청소년 본인이나 주변 어른이 신청 가능해요.

 

동네에 있는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거나,

 

복지로 홈페이지(www.bokjiro.go.kr)에서 온라인 신청도 가능해요.

 

그리고 신청하면 시에서 소득과 조건을 확인하고, 심사를 거쳐서 선정돼요.

 

그러면 5개월에서 10개월 동안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이 지원은 단순한 ‘돈’이 아니라 청소년 한 명, 한 명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사회의 약속이에요.


우리는 모두 누군가의 관심과 도움이 필요할 때가 있어요.


이 제도는 그런 위기의 순간에 손을 내밀어주는 아주 고마운 제도예요.

 

📣 혹시 주변에 해당되는 친구가 있다면?


꼭 알려주세요! 혼자만 알고 있기보다는, 함께 나누면 누군가의 인생이 달라질 수 있어요.


우리의 작은 관심이, 누군가에게 큰 희망이 될 수 있답니다! 😊